안녕하세요 뉴비와 남스핏 입문자 여러분
이번 vp 패치 개발자 노트에서 반응류탄 vp 개선을 보시고 많이들 관심이 있으실 것 같아서 공략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입문자 분들에게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고 숙련자 분들은 틀린점을 발견하시면 지적해주세요
0.자기소개
커맨더 출시이후 본캐를 남스핏으로 바꾸고 나서는 쭉 남스핏을 본캐로 키우고 있습니다.
1.스핏파이어(남) 소개 및 장단점
스핏파이어(남)는 물리,마법공격을 본인이 선택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퍼센트 딜러입니다.
공격 타입에 따라 사용하는 무기가 달라지는데 이는 후술하겠습니다.
장점
1.상위권의 딜구조
원래도 긴 채널링스킬이 진각성을 제외하면 대룡저격소총(리턴드 스나이퍼)밖에 없었고, 대룡저격소총 조차 채널링 동안 통 무적이었기 때문에 딜 구조가 좋았지만
이번 VP패치 이후에는 대룡저격소총의 시전시간이 반절정도로 줄어들고 버스터샷과 리턴스 스나이퍼의 설치기화 VP까지 받아서 전직업에서도 손에 꼽는 딜구조가 아닌가 싶습니다.
2.쉬운 조작난이도
1번과 어느정도 일맥상통하는 장점입니다.
대룡저격소총을 제외한 모든스킬이 설치기와 즉발기라 딜을 넣는 속도도 빠른데, 조건부도 스킬간 연계도 스킬캔슬이 강제되지도 않아서 속칭 asdf딸깍 캐릭터에 속하며
VP에 따라 버스터샷, 리턴드 스나이퍼, 반응류탄이라는 준수한 무적기 까지 가지고 있습니다.
3.준수한 딜링의 탄버프
많은 너프를 먹었지만 아직도 약한 기본기정도의 데미지는 나오기 때문에 스킬 쿨타임동안 손가락만 빨아야되는 다른 캐릭터들과는 달리 계속 평타데미지를 넣을 수 있습니다.
단점
1. 공격 타입에 따라 달라지는 무기
사실 이번 중천 시즌에는 레거시 무기의 존재로 부각되는 단점은 아닙니다.
하지만 아쉽게도 태초의 별이 나와버리는 가능성도 배재할 수 없기 때문에 단점으로 적게 되었습니다.
공격 타입에 따라 무기를 다르게 쓰는 하이브리드 캐릭터들은 아직도 스탯과 크리티컬의 보정이 없기 때문에
레거시 무기가 아니라면 물리공격은 머스켓을 마법공격은 보우건을 써야합니다.
물공 스핏이 보우건을 먹거나 그 반대의 상황이라면 태초 무기를 먹고서도 기분이 찝찝할 수 밖에 없습니다.
2.낮은 아포칼립스 40초 딜링
7월 밸패로 어떻게 바뀔지 모르는 일이고, 작년에 공개한 실전딜 지표에 따르면 모든 캐릭터가 실전딜에선 큰 차이가 나지않는다고 공개를 했습니다만 그래도 현재 파티 구인 컷은 명성보다는 40초 딜로 구인하기 때문에
하위권인 40초 딜링은 컨텐츠 진입시에 상위권 캐릭터보다 더 많은 파밍을 필요로 하게 됩니다.
2.물공? 마공?
공격 타입에 따라 무기가 달라지는 탓에 보정 스킬이 없어서 물리 공격과 마법 공격중에 하나를 선택하여 그쪽으로 만 사용이 가능한 캐릭터이기에 어떤 타입을 선택하는게 좋은지 고민이 되실겁니다.
그나마 이번시즌은 레거시무기의 물리 공격과 마법 공격이 통일되어있고 결국 최종 목표는 태초 레거시 무기이므로 아무거나 해도된다는 대답을 해드립니다만, 레거시 무기가 아닐때의 머스켓과 보우건의 차이를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머스켓(물리공격)
1.높은 물리 공격력
보우건의 마법 공격력보다 머스켓의 물리 공격력이 높게 책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스킬 데미지가 마공스핏보다 높습니다.
2.느린 평타공격
보우건보다 탄창수도 낮고 공격속도도 느리기때문에 탄버프 데미지에서는 손해가 있습니다.
보우건(마법공격)
1.낮은 마법 공격력
머스켓의 물리 공격력보다 보우건의 마법 공격력이 낮게 책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스킬 데미지가 물공스핏보다 낮습니다. 22년 리뉴얼에서 이 차이를 메꾸고자 보우건 착용시 버스터샷에 추가 공격이 생겨 버스터샷의 데미지가 더쌔지지만 전체 데미지 차이를 다 메꿀만큼은 아니기 때문에 전체 딜에서 약간에 손해가 발생합니다.
2.빠른 평타공격
탄창수와 공격속도 때문에 탄버프 데미지는 머스켓보다 높습니다.
이런 차이가 있는 두 무기 입니다만, 현재는 지속적인 탄버프의 너프로 인해 스킬 데미지가 더높은 머스켓이 유리하다고 생각합니다.
기본적으로는 머스켓(물리공격)이 좋고, 특정 상황에서는 보우건(마법공격)이 좋다 이정도로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3.스킬트리 및 설명
eJyVjzFqQmEQhL/xvQdqNNhEUSubgAjmNQFNr03K6BmshISXiOd4egQbbQTTpwho7V28gPN7AxeGHXaHmd1LXIijjOU7iMr5sPk/HdeH0KMOUyVMVOVDJRY88UONjAYrtZhZP6JJrmde6TKnxxt9iTJD6kpJebAmVpkvzz6NxDwyBp53jALS3n1ntM0rxp/5L0VezGMjyWV/x2uOw4lyaYHj9Nhm6zOwFbaaaugDYM+tdgRRbm3qH8Ik0fi2WSnjO3gSfr6/Llc3hSLQ
제가 사용하는 스킬트리는 이렇고 아마 대다수 장군님들도 비슷한 스킬트리를 채용하실 겁니다.
몇가지 설명할스킬들 설명해드리고 나머지 스킬들은 VP설명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자버프 오버차지 입니다. 다른 캐릭터들과 다르게 오버차지 버프를 걸지 않으면 사격계 스킬들이 발동되지 않는다는 특이점이 있으나 던전 입장시 자동으로 자버프가 걸리는 패치이후로는 신경쓸필요가 없어졌습니다.
화,수,명,무 속성을 고를 수 있고 사격계 스킬이 고른 속성에 따라 색과 속성의 영향을 받습니다. ex) 수속성을 선택시 사격계 스킬에 수속성이 적용되고 스킬 이펙트가 파랗게 변함
공략을 보시다가 예전 글들을 보신다면 무속성을 반드시 걸어야한다고 보실 수 도 있는데 조건부 완화 패치이후 현재에는 무속성 추가효과로 탄 속도 증가만 남았기 때문에 그냥 원하는 색 속성을 고르시면 되겠습니다. 참고로 탄 속도 증가는 탄 발사 속도가 아니라 발사된 평타가 적에게 날아가는 속도라서 정말 있으나 마나한 효과입니다. 입장시 자동으로 사용되는 오버차지는 가장 마지막으로 썻던 속성을 따라갑니다.
예전에는 사용하지 않으면 스킬을 사용하지 못해서 헬던전 돌때도 꼬박꼬박 사용해야하고, 속성은 사격계 스킬에만 적용되서 결국 큐브의 계약을 사용해야되는 아쉬운점이 있는 버프였으나 지금은 입장과 코인사용시 자동 자버프사용 패치, 크리처 아티팩트 패치로 아쉬운점이 사라졌습니다.
특성탄 입니다. 원래는 전직시 자동으로 찍히는 1찍고 볼일도 없던 스킬입니다만 이번시즌 상급던전 애쥬어 메인에서 멜리오나에 수속성 오버차지 후 특성탄으로 빙결을 걸때 사용하면 좋습니다.
빙결류탄도 있으나 쿨타임 6초에 확률은 100퍼센트라는데 가끔 안얼기도 하니 특성탄으로 얼려줍시다. 기본확률은 25퍼센트지만 듀얼플리커 덕분에 무조건 언다고 생각하셔도 좋습니다.
장군님의 현자타임을 삭제해주는 탄버프 스킬입니다. 둘다 마스터시 공격력이 똑같아서 취향껏 찍으면 되지만, 22년 리뉴얼패치에서 폭발탄이 예전 작열탄의 익스플로전을 일으키게 바뀌고 난뒤로는 다단히트 때문에 대다수가 폭발탄을 채용합니다.
남는 스킬포인트로 찍는 기본기 류탄입니다. 빙결류탄 마스터후 남는 스킬포인트를 섬광류탄에 주시면 됩니다. 이 둘을 채용하시면 류탄의 공격력을 110퍼센트 증가시켜주는 류탄 마스터리 패시브도 마스터 해주세요.
남는 스킬포인트를 줄만한 후보 스킬들입니다. 류탄을 쿨타임마다 굴리기 힘들겠다 싶으면 c4 마스터후 중력류탄에 나머지를 주셔도 됩니다만 40초딜에서는 2류탄보다 약하며 c4를 채용하시면 무조건 후술할 vp 레피드 익스팅션을 찍어주셔야합니다.
4. 스킬개화(VP)
c4
1.래피드 익스팅션
부착시 자동으로 터지게 구조개선을 해주는 VP입니다. Y축 탐색범위도 늘려줘서 대충 던져도 다 맞는 수준으로 개선해줍니다.
c4를 채용하신다면 무조건 채용해야되는 VP입니다.
2.택티컬 호른
2회까지 충전되며 쿨타임이 절반이되고 데미지도 절반이 됩니다.
악명 높은 스택화 VP입니다. VP는 탈리스만과 다르게 쿨타임대비 데미지는 동일하게 바뀌기 때문에 스택화 VP는 2번을 다 써야만 원래 1번쓴 데미지가 나와서 헌터의 80제 처럼 자체 기믹에 도움이 되는 경우가 아니라면 웬만하면 찍지 않습니다.
거기다 더해 c4는 자동 폭발이 없으면 못쓸 수준인데 구조개선 없이 스택화만 되기 때문에 처음 2번을 쓸때는 부착-폭발-부착-폭발 총 c4를 4번 사용해야하는 안찍느니만 못한 VP이므로 그냥 없는 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버스터샷
1.부러진 화살
버스터샷을 설치기로 바꿔주는 VP입니다.
동영상에선 가만히 있어서 시전모션이 있지만 다른행동중(스킬시전이나 대쉬)에 사용시 시전모션없이 버스터샷이 날아옵니다.
선 딜레이가 생기는 대룡저격소총 VP와 굉장히 잘어울리며, 대룡저격소총 사용 직후 버스터샷을 사용하면 시전됩니다. 조금만 늦어도 사용되지 않으니 바로 사용하셔야 하며, 진 각성스킬의 경우 시전중에 버스터샷이 시전되지 않습니다.
2.위장사격
버스터샷을 무적기로 바꿔줍니다.
본섭에 넘어올때 무적시간을 좀 늘려주긴 했지만 그래도 무적이 짧은 편이고, 또한 이런 말을 하게 될 날이 오게 될줄 몰랐지만 위장사격 말고도 준수한 무적기가 많기 때문에 설치기로 바꿔주는 부러진 화살 대신 채용할 이유가 딱히 없는 VP입니다.
그래도 무적기의 가치가 높기 때문에 짧은 쿨타임의 무적기가 필요한 던전에서는 충분히 찍을만합니다.
네이팜탄
1.빅밤
네이팜탄을 광역 즉발 스킬로 만들어줍니다.
장판딜이 폭발딜에 포함되는 깔끔하게 잘만든 VP입니다.
2.쿼드포드
네이팜탄을 이름답게 만들어주는 VP입니다.
보스가 자꾸 움직여서 장판딜을 안맞아주면 온 맵에 장판을 깔면되잖아? 라는 사고방식의 VP입니다. 사실 시전 즉시 데미지가 다 들어가는 빅밤이 더 좋은 VP라고 생각하지만 쿼드포드도 보스가 패턴시전을 위해 날아가는 것만 아니라면 어차피 다 맞출 수 있어서 취향에 따라 찍으시면 될 것 같습니다.
리턴드 스나이퍼
1.대룡저격소총
리턴드 스나이퍼를 한방 스킬로 만들어주는 VP입니다.
시전시부터 사격까지 쭉 무적이기 때문에 레이드 패턴 실패시 무적기로 활용하기도 좋습니다. 나벨 기준 엘디르 2페 패턴처럼 실패시 행동불능까지 만드는게 아니라면 전부 무적으로 회피 가능합니다.
탈리스만 시절에는 높은 딜증을 가지고 있어서 선딜레이도 꽤나 길었지만 VP로 넘어오면서 딜증가량은 사라졌기 때문에 선딜레이도 많이 줄여줬습니다.
여담으로 레이드 전투리포트의 '한방'이 단타 딜인지 스킬 하나의 딜인지 정확히는 모르겠으나 대룡저격소총 채용후 뺏겨본적이 없습니다.
2.오퍼레이션 블랙호버
리턴드 스나이퍼를 설치기로 바꿔줍니다.
기본 리턴드 스나이퍼에 달려있는 무적이 사라지지만 설치기로 바뀌는 장점이 더 커서 무시할만합니다.
중력류탄
1.스쿼시 그라비티
범위가 증가하고 지속시간이 짧아지는 VP입니다.
크게 좋아지는건 아니지만 구조가 좋아지기는 해서 중력류탄을 찍으신다면 채용할만 합니다.
2.스페이스 프레셔
즉시 폭발이 가능하게 해주는 VP입니다.
채용시 단타딜이 사라지고 폭발딜에 합쳐집니다.(영상 초반에 들어가는 딜은 장비옵션입니다)
단타딜이 사라졌는데 지속시간은 늘어나고 즉시 폭발을 위해 재시전까지 해야하는 총체적 난국인VP입니다. 그냥 누르기만 해도 딜압축이 반절이나 되는 스쿼시 그라비티의 명백한 하위호환 이므로 찍을 필요가 없습니다.
고전압탄 : 맥스웰
1.이오나이저
자기장 효과가 강화되는 VP입니다.
자기장 범위가 커지고 탄 데미지 증가효과가 50퍼센트 증가합니다.
2.리퀴드 퓨즈
맥스웰을 탄 버프로 바꿔주는 VP입니다.
직접 사격할 필요없이 사격계 스킬(교차사격, 버스터샷, 네이팜탄)에 알아서 반응하여 소모됩니다.
예전 장탄공급 스킬의 추억을 살려주었는데 재미는 있다고 생각하지만 이점에서 문제가 좀 있습니다. 장탄공급과 다르게 파티원에 거너가 없어도 파티원 지정 화살표가 열립니다...
탄 소모속도가 빨라지고 사격계 스킬에 반응까지 하게 개선되어서 노 VP 네이팜탄 한방이면 장판딜로 모두 소모하기에 찍어볼까 했으나 위와 같은 단점때문에 사용을 포기했습니다. 그래도 거너가 아닌 파티원에게 화살표가 입력되진 않아서 추가 조작이 짜증나지 않으신다면 좋은 VP라고 생각됩니다. 장탄공급 on/off 기능만 생긴다면 찍을 가치가 매우 올라갈 VP라고 생각합니다.
데인저 클로즈
1.킵 어시스턴스
데인저 클로즈가 추적 스킬로 바뀝니다.
눌러놓으면 알아서 보스에게 추적하며 떨어지는 좋은 VP입니다.
다른 추적형 스킬과는 다르게 추적할 몬스터가 없어도 사용가능하며 캐릭터 바로 앞에 떨어집니다.
2.모어 백 업
데인저 클로즈의 공격시간이 감소하는 VP입니다.
시전시 추가조작을 통해 방향을 지정하면 그 범위에 폭격합니다.
킵 어시스턴스 보다 빠르게 데미지를 욱여넣을 수 있지만 개인적으로 어차피 눌러 놓기만하면 알아서 추적해서 떨어지는 킵 어시스턴스를 놔두고 추가 조작이 달린 모어 백 업을 찍을 필요가 있나 싶습니다.
(발퀄 죄송..)
개인적인 생각입니다만 스킬명 데인저 클로즈도 살릴겸 추가조작없이 캐릭터 뒤 부터 부채꼴형태로 전방만 폭격하는 식의 VP였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이 있습니다.
반응류탄
1.열압력반응류탄
반응류탄 부착 즉시 폭발하게 바꿔줍니다.
추적 범위도 증가하고 즉폭 옵션도 없는거 보단 낫지만 다음 VP가 너무 좋아서 버려지는 VP입니다.
굳이 따지자면 왠만해선 안 빗나간다는 장점은 있습니다.
2.던 오브 플레임
반응류탄을 무적기로 바꿔줍니다.
아시는분은 아시겠지만 퍼스트서버에서 정말 충격적인 비쥬얼로 공개되었다가 커뮤니티에서 다른 직업 유저들까지 놀리고 동정해주는 여론이 형성되어서 아예 다른 스킬로 탈바꿈 해줬습니다.
시전즉시 무적이되며 이터널 버스터의 피니시 사격까지 2.8초 동안 무적이 유지되고 그동안 자유롭게 행동할 수 있습니다. 80제 스킬이라 무적기로 사용하기 위해 남겨놓지는 못하겠지만 그래도 2.8초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무적기는 이 스킬이 유일하지 않나 싶습니다. 타이밍 좋게 쿨이 돌아있다면 무적기로도 활용하기도 매우 좋습니다.
4-1.스킬개화 선택
저는
버스터샷-부러진화살
네이팜탄-빅밤
리턴드 스나이퍼-대룡저격소총
데인저 클로즈-킵 어시스턴스
반응류탄-던 오브 플레임
이렇게 채용하고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버스터샷, 데인저 클로즈, 반응류탄은 필수 채용이라고 생각하고, 네이팜탄은 쿼드포드를 사용하거나 아예 맥스웰 VP를 챙겨볼만도 하다고 생각하지만, 스킬개화 없이 기본 스킬에서 맥스웰은 하자가 없는 즉발 단타 스킬인 반면 네이팜탄은 장판까지 다 맞추지 않으면 100퍼센트 성능이 나오지 않아서 네이팜탄을 채용했습니다.
남은 것은 리턴드 스나이퍼인데 현재 던파에서는 40초 딜링이 중요하기 때문에 취향껏 선택하시라고 했지만 사실 완전히 취향껏 선택하실 수는 없습니다. 대룡저격소총은 쿨타임이 1.5배 증가하는 대신 대미지도 1.5배 증가했기 때문에 대룡저격소총 1번= 오퍼레이션 1.5번과 같습니다. 1.5번이라는 횟수는 던파에서 불가능 하므로 실전에서는 오퍼레이션 1번 < 대룡저격소총 1번 < 오퍼레이션 2번 < 대룡저격소총 2번 = 오퍼레이션 3번.... 이 순으로 총 딜량이 강해집니다.
캐릭터 별로 칠흑의 정화 세트인지 아닌지, 베누스 고유 융합석이 몇 부위인지에 따라서 쿨타임 감소가 달라지므로 외부사이트를 참고하셔서 스킬 개화와 강화가 2가지 종류씩 존재하므로 4가지 경우의 수를 전부 입력해 보신 뒤에 가장 강한 조합으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제 캐릭터가 착용한 장비 기준으로 황금향 세트에 베누스 고유 융합석 5부위를 착용해도 오퍼레이션 블랙호버 스킬이 40초 안에 3번사용이 가능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칠흑의 정화 세트가 아니라면(고유 장비도 없으시다면) 오퍼레이션 1번 < 대룡저격소총 1번 < 오퍼레이션 2번 < 대룡저격소총 2번 이 경우의 수 안에 있으므로 더 강한 조합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4-3.스킬 강화
제 스킬트리를 복사하시면 리턴드 스나이퍼, 버스터샷, 반응류탄 강화가 찍혀있을 텐데 저는 나벨 특수장비 고유융합석 때문에 반응류탄을 채용했지만, 나벨 특수장비 고유융합석이 없으시다면 버스터샷, 네이팜탄, 리턴드 스나이퍼를 채용하시는게 딜 상승량이 제일 높습니다. 스킬 공격력 증가를 채용할지 스킬 공격력 증가와 쿨타임 감소를 채용할지는 역시 외부 사이트를 참고하셔서 더 데미지가 높은 쪽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칠흑의 정화 세트가 아니라면 쿨타임 감소 옵션 채용시 사용 횟수가 증가한다면 보통 더 데미지가 높습니다.
나벨 특수장비 고유 융합석을 채용하셧다면 스킬 강화를 전부 뺀 다음 수련의 방에 가셔서 40초 샌드백을 쳐보시고 높은 순서대로 3가지 스킬을 강화하시면 됩니다.
5.아바타 옵션
나머지 부위는 그냥 추천 옵션 사용하시면 되고 상의 옵션은 병기숙련, 허리옵션은 회피율을 채용하시면 되겠습니다(허리는 다른거 선택하셔도 괜찮아요).
플레티넘 엠블렘도 병기숙련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여 스핏파이어도 똑같이 병기숙련을 사용하므로 경매장에서 구입하실때 잘 보시고 사셔야합니다.
6.세트 추천
사실 추천할 것도 없이 잘 나오는 세트를 사용해야 하지만 1,2차 각성기가 부실하기로 유명하고 심지어 1차 각성기 블랙로즈는 범위 내 대상을 전부 타격하는게 아니라 실제 탄환이 맞아야 데미지가 들어가기 때문에 소총수 까지 다 맞추게 시전하기가 실전에서는 매우 힘들어서 자연빵으로 한계를 넘어선 에너지 세트(각몰세트)가 2태초 이상이 되버리는게 아니라면 세트 포인트가 좀 낮아도 다른 세트를 쓰시길 바랍니다. 각몰세트가 다른세트에 비해 순수 채급이 낮아서 각성기가 우수한 캐릭터도 기피하는데 각성기에 하자가 많은 남 스핏파이어는 어지간해선 채용하지 않는게 좋아보입니다.
이 외에는 VP패치 이후에 우수한 설치기화 VP(부러진 화살, 쿼드포드, 오퍼레이션, 리퀴드 퓨즈, 킵어시스턴스)가 많아서 칠흑의 정화세트의 타락옵션도 아마 다 소화가 가능할 것 같아서 칠흑의 정화세트가 잘 맞을 것 같다 하는 점이 있습니다.
7.마치며
부족한 글 봐주셔서 감사하고, 도움이 되셧기를 바랍니다.
질문이 있으시다면 댓글 달아주시면 아는 범위 내에서 답변해드리겠습니다.
스킬 개화 패치로 성능과 컨셉, 멋 까지 다 잡은 스핏파이어 재밌게 즐겨주세요.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