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메카닉] 남메카닉 공략(25/07/02 수정)(스킬VP추가)(움짤다수) (24)
-목차-
1. 남메카닉이란?
2. 남메카닉의 장단점
3. 스킬트리
4.스킬 운용 팁,방법
5. 스킬VP설명, 추천
6. 아바타 옵션
7. 마법부여 옵션
8.아이템 세팅 추천
9. 융합석 추천
10. 마치며
24/06/20 공략 추가 및 수정(스킬트리 수정, 스킬 운용 방법 수정,40초 딜 추가, 탈리,룬,플티 관련 수정,아이템 세팅 추천 수정, 융합에픽 수정)
24/07/04 보조특성 추가
25/04/17 115LV 아이템 세팅 으로 변경
25/07/02 스킬트리 변경, 스킬VP추가, 베누스, 나벨 융합석 추천 추가
남메카닉은 마법공격, 퍼센트 데미지 딜러이며 모든 스킬에 화속성부여가 되어있는 화속성공격 딜러입니다.
여러 가지 설치형 로봇들을 소환하여 로봇 전폭을 사용해 로봇들을 폭파시켜 데미지 딜링을 하는 딜러입니다.
남메카닉의 딜 방식은 스킬로 로봇을 소환한 뒤 전폭으로 폭파시켜 딜을 하는 방식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스킬을 빠르게 소환시키고 전부 전폭으로 폭파시켜 빠르게 딜링을 할 수 있습니다.
빠른 딜링 방식 덕분에 여러 상황에서 이득을 볼 수 있습니다(ex.뮤즈 앵콜)
장점2)포지션에 구애받지 않는 딜 방식
로봇 전폭 스킬은 조준 전폭이 가능하며 조준 전폭은 x,y축 제약없이 맵의 어느 곳이든 타격이 가능합니다.
또한 2차 각성 패시브 HS-1 친구들을 습득하면 캐스팅 모션 없이 로봇스킬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움직이면서도 로봇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남메카닉은 스킬을 맞추기 위해 위치를 바꿀 필요가 거의 없고 이는 다른 캐릭터와는 차별화되는 굉장한 이점이라고 생각합니다.
단점1)하자 넘치는 스킬들
남메카닉은 출시된 지 굉장히 오래 된 직업이고 그 오래된 기간동안 제대로 된 리뉴얼이나 A/S패치를 받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스킬들을 구조가 굉장히 낡았고 구립니다(..). 안 좋은 스킬들을 더 안 좋은 스킬 때문에 써야하는 눈물나는 상황이 지금의 상황입니다.
vp 패치들을 통해 vp를 받은 스킬들의 구조는 꽤 개선이 됬습니다. 스킬들을 선택해서 쓸 수도 있습니다.
다만 하급기들이 아직 좋지 않고 전폭 증뎀(전폭으로 로봇을 폭파시키지 않으면 딜40%손해)에 딜이 묶여있다는 단점은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단점2)스킬 한 개를 쓰는 데에는 오래 걸리는 시간
스킬→전폭이라는 딜 구조 때문에 4~5개의 스킬을 사용하는 것은 빠르지만 스킬 1개1개를 쓰는 속도는 느린 편입니다.
보스전에서는 크게 상관없지만 잡몹방에서는 이러한 점이 약간 체감됩니다.
스킬코드
eJyljjtqAgEURc/NODKOiaQRiTEMaBC0MCLYOIVF7Cwli3DaFM64JJuAtsF0gp0LsXMDXskSfPDgcHifeyk9BME3+RxEfD5+/Q1/z9vToZrQUci7KrT1RE6dgoZWPJPR1JKEGS8s6JLS09TbkRKVJR8SFcW8Gar2fWLmdiNCDcwtxvzYb9yvTPToub15R8SHuWQOM5SiAi1QDkGGfzkCtUgjr7Udwc7HcID/Km4zOWtjR59MKeumN/52f12uAXUcvg==
VP업데이트 이후의 스킬트리입니다. 일반 바이퍼를 버리고 바이퍼 제로를 투자했습니다.
이후에 설명할 스킬 VP에 따라 스킬트리를 유동적으로 변경하시는 걸 추천합니다.
만약 공시옵 세트 장비(에테리얼,세렌디 등등)를 착용하고 있다면 템페를 1 찍는 것을 추천드립니다.(vp를 투자하지 않은 경우)
버추얼 러쉬는 진각성기 사용 시 자동으로 터집니다. 순간딜링 시 활용합시다.
Hold & Go 스킬은 로봇들을 정지시킬 수 있습니다. 몬스터들이 나타나기 전 스킬들을 깔아주고 Hold & Go로 정지, 나타나면 다시 스킬 써서 풀고 전폭해서 스킬 쿨타임을 효율적으로 쓸 수 있습니다.
이런 느낌으로 딜링하시면 됩니다. 포지션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형 스킬들을 조준 전폭으로 빵빵 쏘는 남메카닉의 딜링 방식입니다.
선요약
스킬 개화
필수
메카드롭1or2
바이퍼 제로2
스패로우 팩토리2
디멘션 러너2
선택
A-TEAM 1or2 혹은 템페스터2 혹은 카운트어택1(필자는 A-TEAM 1을 채택했습니다)
스킬 강화
스패로우팩토리
바이퍼제로
메카드롭or디멘션 러너(필자는 디멘션 러너를 채택했습니다)
남메카닉은 vp를 통해 스킬들의 개선을 어느 정도 받아냈고 선택지도 이전에 비해 많이 늘어났습니다.
선요약을 박아놨지만 한번 스킬들을 보시고 직접 사용도 해 보면서 vp를 채택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템페스터
vp1(추천도 2/5)
강화 템페스터가 소환됩니다.
AI가 강화되었다고는 하지만 솔직히 글쎄(?) 라고 생각합니다.
남메카닉은 쿨감 세팅을 기본 베이스로 하는데 그럴 수록 일반 소환수인 템페스터의 효율은 떨어집니다.
별로 추천하지는 않습니다.
vp2(추천도 3.5/5)
템페스터를 전폭으로 바로 폭파시킬수 있습니다.버츄얼 러쉬 녹화도 가능해집니다.
쿨타임도 15초로 많이 줄어들어 쿨감을 더 받을 시 카운트다운과 비슷한 쿨타임을 가집니다.(움짤기준 쿨감 55%에 쿨타임 5초쯤)
퍼쿨이 꽤 괜찮기 때문에 채용해도 괜찮은 vp입니다.
메카드롭
vp1(추천도 2/5)
시전시 1.5초정도의 무적부여+ 전폭시 체력을 5% 회복시켜줍니다.
무적기이긴 하지만 메카드롭은 주력기이기 때문에 무적을 노리고 쓰는 것은 실전에서 거의 불가능합니다.
체력 회복 역시 그닥 유의미하지 않기 때문에 별로 추천하지는 않습니다.
vp2(추천도 4/5)
메카드롭을 HS-1 친구들이 대신 시전해주며 로봇들이 한번에 낙하합니다.
친구들이 대신 시전해주는 것이 시전시간이 생각보다 느리게 느껴지지만 한꺼번에 내려오기에 어느 정도 상쇄되는 느낌입니다.
움직이면서 쓸 수 있다는 것이 실전에서 꽤 괜찮기 때문에 추천드립니다.
스패로우 팩도리
vp1(추천도 3/5)
이전의 탈리스만의 형태를 계승한 vp입니다.
뎀감 부여가 추가됬는데 어차피 터트릴거 왜 부여했나 싶지만 일단 있으면 좋으니 그려려니 하겠습니다.
패턴 중 먼저 소환해 스킬 쿨타임을 아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4번 전폭해야 한다는 게 너무 오래 걸려서 저는 추천하지는 않습니다.
vp2(추천도 5/5)
스패로우를 광역 즉발 스킬로 바꿔줍니다.
전폭 증뎀 적용되고 버츄얼 러쉬에 녹화도 됩니다.
개인적으로 매우 맘에 드는 vp입니다. 전폭을 거치지 않고 매우 빠르게 광역 딜링을 할 수 있다는 것이 저에게는 너무나도 좋게 다가왔습니다.
무조건 캐스팅을 해야 한다는 작은 단점이 있지만 그것을 덮을 정도로 장점이 압도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카운트어택
vp1(추천도3/5)
탈리스만을 계승한 vp로 이전 탈리스만의 단점들을 많이 개선한 vp입니다.
매우 넓은 범위에 두번 전폭할 필요 없이 깔끔하게 단타로 들어가기 때문에 채용을 고려해도 좋은 vp입니다.
vp2(추천도 1/5)
카운트어택을 폭파시키면 워프포탈을 만들고 순간이동을 할 수 있게 해 주는 vp입니다.
카운트어택 소환>조준전폭>카운트어택 스킬 한번 더 입력 이라는 너무 지저분한 프로세스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동기는 즉각적인 상황대응을 위해 있는 스킬인데 이 vp는 그것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vp라서 매우 추천하지 않습니다.
바이퍼 제로
vp1(추천도 2/5)
이전의 바이퍼 제로 탈리스만을 계승한 vp입니다.
1.5초라는 짧은 시간에 쏘는 것은 좋지만 요즘 몹들은 그 시간조차도 허락하지 않습니다.
심지어 다음에 소개할 vp가 매우 좋은 성능의 vp이기 때문에 채용은 별로 추천하지 않습니다.
vp2(추천도 5/5)
바이퍼 제로가 박격포 모드로 가장 강한 적을 조준해 총 5발을 쏩니다.
색적 범위는 2000px로 매우 넓습니다. 걍 아무대나 깔아도 맞는 수준입니다.
바이퍼 제로의 경우 딜은 매우 괜찮은 스킬이지만 풀히트를 맞추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해 채용이 꺼려졌던 스킬인데 이vp는 그런 문제점을 완전히 해소시켜줬습니다.
무조건 채용해야 하는 vp라고 생각합니다.
디멘션 러너
vp1(추천도 3/5)
이전의 탈리스만을 계승한 vp입니다.
소환되는 시간이 은근 길어 생각보다 잘 빗나가는 스킬입니다.
대충 쓰면 이렇게 됩니다. 보스전에서 생각보다 자주 일어나는 상황이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그래도 딜타임(특히 아포타임)에 빠르게 우겨넣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채택을 어느 정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vp2(추천도 4.5/5)
디멘션 러너가 가장 강한 적을 추적해 샷건 8발을 쏘고 자폭합니다.
매우 넓은 색적 범위를 가지고 있으며 적을 인지하면 방향 상관없이 바로 달라붙어서 공격합니다.
풀딜을 넣는 속도가 vp1에 비해 느리다는 단점이 있지만 딜 누수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는 장점이 더 크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vp2를 추천합니다.
A_TEAM
vp1(추천도 3.5/5)
에이팀이 전폭 후 로봇 하나가15초동안 남아 랜드러너와 카운트다운을 대신 소환해줍니다.
랜드러너와 카운트다운은 쿨이 너무 짧아 사실상 풀가동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는데 그런 단점을 커버해주는 매우 괜찮은vp입니다.
과쿨감을 완성했을 경우 효과가 극대화 되는 vp입니다. 저 같은 경우는 커맨드까지 사용해서 에이팀 쿨타임이 16초쯤 되는데 이 정도면 거의 풀 유지가 가능해 효율을 낼 수 있습니다.
다만 세팅이 완성되지 않은 경우 에이팀 로봇이 비는 동안 효율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의 세팅에 따라 고민 후 채택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vp2(추천도 3/5)
소환 후 가장 강한 적에게 즉시 자폭하고 7초동안 표식을 남깁니다. 그 후 전폭하는 로봇들은 표식이 생긴 적에게 자동으로 조준 전폭됩니다.
조준 전폭이 익숙치 않은 뉴비 메카닉 분들이라면 채택할 만한 vp라고 생각합니다. 저 같은 경우는 조준 전폭이 몸에 배여서 별로 익숙치 않아 채택하지는 않았습니다.
머리 모자 : 지능 or 캐속
얼굴 목가슴 : 모상내성 (숲마반 대비)
상의 : 아크 리액터
하의 : hp (아칸 mp)
허리 : 속저(화속저 추천)
신발 : 이속
플레티넘 엠블럼은 버프 플래티넘 엠블럼은 로보틱스(남), 딜 플래티넘 엠블럼은 아크 리액터입니다.
버프 플래티넘 엠블럼 구매시 남, 여 확인을 확실하게 하고 구매하시기 바랍니다. 엠블럼 색깔을 보고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남메카닉은 크리티컬을 챙기기가 매우 힘든 캐릭터이기 때문에 엠블럼에서 크리티컬을 어느정도 챙겨 가는 것을 추천합니다.
중천 시즌은 크리를 매우 널널하게 챙겨주기 때문에 크리에 목맬 필요는 없습니다.
속성강화는 기본 속성부여인 화속성을 기준으로 작성했습니다. 커스텀 때문에 타 속성공격을 사용하시는 분들은 타 속성강화 마부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레이드 경매에서만 먹을 수 있는 카드들은 설명에서 제외했습니다.
무기:화속성공격(파이디온, 볼트MX-3)
상,하의: 마법공격/지능(무적자 유진,불신위괴 라르고)->마법공격/지능/스킬공격력(황금의 광채 베누스,폭주하는 욕망의 헌신)
어깨,벨트:스킬공격력 2% 보주(어깨는 아스타로스or사라웨인, 벨트는 스카사)->스킬공격력 3% 보주(어깨:크래시머,벨트:엘디르)
신발:지능or지능/크리->스킬공격력2%(요기에 잠식된 요무무)
악세서리:화속성강화(무용담마부or디리겐트,퀸 디스트로이어)->모든속성강화35/최종데미지1%(카밀라, 첫 기억을 간직한 자, 사벨리)
보조장비:물,마,독 110 (무용담마부)or시브보주
마법석:속성강화30 무용담마부->속성강화 40(비시마 카드)
귀걸이:스탯50속강11(무용담마부)
무기 먼저 설명드리고 설명드리기 전에 먼저 말해보자면,
일단 현재 아이템 파밍은 헬 메타이기 때문에 일단 먹으면 써야하는 것이 맞습니다.
레거시 무기는 아무리 못해도 동급의 기본 무기보다는 좋기 때문에 일단 먹으면 쓰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세트 장비 역시 정말 안 맞는 장비여도 일단은 상위 컨텐츠(애쥬어,여신전, 베누스 등등)을 뚫을 수 있는 명성을 달성할 수 있다면 끼고 그 후 고민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최종뎀이 매우 높고 퀵슬롯을 비우면 유틸리티를 제공해줍니다.
태초는 퀵슬롯 3개,에픽은 4개, 레전더리는 6개를 비울 것을 요구합니다.
커맨드를 익혀야 하는 것이 번거로울 수 있겠으나 데미지도 매우 높고 유틸도 쏠쏠하기 때문에 좋은 무기라고 평가할 수 있겠습니다.
45스증이 붙어있고 무큐기 스증과 비무큐기 스증이 따로 붙어있습니다.
남메카닉은 45스킬이 최주력기기 때문에 매우 잘 맞는 옵션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또한 무큐기 비중도 높기 때문에 버릴 옵션이 없는 좋은 무기라고 평가할 수 있겠습니다.
쿨감과 오브젝트 데미지가 붙어있습니다.
레거시 무기의 경우 쿨감이 붙을 경우 그 대가로 최종뎀이 낮고, 동일하게 오브젝트 데미지가 붙어있으면 그 대가로 최종뎀이 낮습니다.
그런데 이 무기는 그게 둘 다 붙어있습니다... 덕분에 기본 최종뎀이 매우 처참합니다.
쿨감을 제공하기 때문에 남메카닉한테 나쁘지는 않지만, 무기 자체의 체급이 너무 구려서 아쉬운 평가가 나올 수밖에 없습니다.
오브젝트 데미지를 주는 옵션만 붙어있습니다.
오브젝트 데미지는 시전자가 어떠한 상황이든 공격을 하기 때문에 가동률이 꽤나 좋습니다.
다만 오브젝트 데미지는 쿨감과의 궁합이 매우 나쁘기 때문에 남메카닉에게는 그리 달가운 무기는 아닙니다.
발동형 오브젝트 데미지와 범위 증가가 달려있습니다.
발동형 오브젝트 데미지는 쿨감의 영향을 못 받기 때문에 쿨감이 중요한 남메카닉과는 상극입니다.
게다가 범위 증가를 대가로 최종뎀이 낮기 때문에 매우 좋지 않은 무기라고 평가할 수 있겠습니다.
머스켓>리볼버>>>자동권총>보우건>>>>>>핸드캐넌 정도의 성능 차이라고 생각합니다
이제 세트 장비 아이템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현재 가장 강력한 장비 세트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가장 강한 딜에 속도,뎀감,범위증가 등등의 유틸까지 빠지는 게 없는 육각형 세팅입니다.
하지만 최고점을 보기 위해서는 모든 장비 12증을 해야 하고 적어도 올 10증은 해야 제 구실을 하기 때문에 이 장비 세팅을 하실려면 어느 정도의 투자를 각오하셔야 합니다.
황금향 바로 아래 급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많은 양의 무큐 소모를 대가로 강한 딜링과 높은 속도를 부여해줍니다.
남메카닉은 스킬을 많이 쓰는 직업이라 용투장의 무큐 과소모 옵션이 부담스러울 수도 있습니다.(특히 이번 시즌에 유입된 뉴비분들)
하지만 대가로 주어지는 딜이 매우 강력하기에 무큐에 조금 투자하더라도 쓰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높은 쿨감을 제공하는 칠흑입니다.
이번 시즌 남메카와 가장 잘 맞는 세트라고 생각합니다.
타락 모드의 쿨감 55%, 2각패시브와 법석 쿨감으로 70%의 쿨감 상한치를 거의 근접하게 달성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과쿨감을 온전히 소화할 수 있기에 가장 어울리는 세트라 할 수 있습니다.
다만 단점이라면 쿨감 세팅이라 깡딜이 낮아 오브젝트 공격을 하는 레거시 무기와 궁합이 안 좋은데, 거너는 이런 레거시 무기가 3개나 된다는 것입니다.
또한 시즌이 진행되면서 부족한 쿨감을 매꿀 수단이 생길수록 티어가 하락한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액티브 스킬이 추가되는 세팅들입니다.
세트 착용시 주어지는 액티브들은 무적(그림자는 에픽1이상 달성시 생기는 뒤잡기 액티브)이기 때문에 무적이 없는 남메카닉에게 매우 좋은 요소입니다.
딜링도 중간은 가기 때문에 괜찮은 세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브젝트 데미지를 주는 세팅들입니다.
자연은 오브젝트 데미지 비중이 적고 깡딜이 높으며, 소울 페어리는 오브젝트 데미지 비중이 크고 여러 유틸들을 제공합니다.
오브젝트 데미지는 위에 무기에서 설명했든 쿨감과 궁합이 나쁘기 때문에 남메카닉과의 궁합도 아쉽지만 못 쓸 정도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마력의 경우에는 이야기가 다른데 이 세팅의 경우 완전 딱 붙어서 딜을 해야만 온전한 딜이 나오기 때문에 원거리에서 딜을 하는 남메카닉과는 상성이 매우 나쁩니다.
게이지를 채워서 폭팔적인 딜링을 내는 세팅입니다.
남메카닉은 쉴새없이 딜을 넣을 수 있지만 타수가 많은 직업은 아닙니다.
템페스터를 통해 게이지를 채우는 것을 보충할 수 있다는 것이 그나마 좋은 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에픽 단계 달성 전에는 뎀증 중에는 게이지가 차지 않아 가동률이 매우 떨어진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습니다.
쿨초를 메인으로 하는 세트입니다.
위의 에테리얼과 같이 템페스터로 쿨초 확률을 조금 높일 수 있고 남메카닉도 쿨초 메리트가 꽤 높은 직업이기 때문에 괜찮은 세팅이라고 생각합니다.
파티원에게 시너지 버프를 주는 장비입니다.
뎀감, 속도 등등의 유틸 버프를 파티원에게 제공하고 30초마다 몬스터에게 받는 데미지 증가 디버프를 걸어줘야 합니다.
딜 포지셔닝이 자유롭기에 디버프를 거는 것이 엄청 문제되지는 않으나 번거로운 것은 어쩔 수 없고 또한 태초셋이 아니라면 3스택을 시간을 들여서 쌓아줘야 합니다.
또한 이 디버프를 대가로 장비 데미지가 낮게 책정되어 파티에 들어가는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저는 나쁘게 생각하지 않는 세팅이지만 사람들의 인식이 영 좋지 않은 세팅입니다.
여담으로 솔플의 경우 높은 최종 뎀증을 줘 매우 강력한 세트가 됩니다. 간단하게 솔플로만 플레이 하신다면 강력하게 추천드립니다.
각성기 강화를 메인으로 하는 세팅입니다.
남메카닉의 각성기는 딜이 매우 저열하기 때문에 당연히 궁합도 최악입니다.
각성기 자체가 나온지도 오래 되서 딜도 문제지만 선딜이 너무 깁니다. 어지간하면 몬스터들이 안 맞아줘요.
그리고 이 세트 자체가 너무 체급이 구립니다. 될 수 있는 한 최대한 빠르게 다른 장비로 교체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남메카닉의 장비 세트 선호도입니다. 쿨감을 주는 칠흑이 가장 높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앞에서 말했듯, 본인이 가장 먼저 모인 장비로 빠르게 상위 컨텐츠를 가고, 그 이후 나오는 태초 악세서리, 혹은 에픽의 개수에 따라 고민하고 결정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방어구 융합의 경우 쿨감을 주는 대류 5셋을 먼저 착용하고 이후 베누스 융합석으로 차례차례 바꿔가면 됩니다.
베누스 고유 융합석의 경우 범위 증가를 주는 배신과 속도를 주는 욕망을 적절히 섞어서 입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남메카닉은 범위 증가빨을 꽤 받기 때문에 배신3,욕망2를 추천드립니다
악세,특장 융합석의 경우 이렇게 끼시면 됩니다. 태초의 경우 이벤트로 자주 주고 있으니 선택해서 끼시면 됩니다.
나벨 고유 융합석의 경우 범위 증가의 축복 팔찌와 쿨감을 주는 창조 반지(칠흑 제외)를 얻는 것을 최우선으로 합니다.목걸이의 경우는 함정이 딱히 없기 때문에 설명하지 않겠습니다.
팔찌의 경우 축복과 테아나를 제외한 나머지 2개가 함정급으로 좋지 않기 때문에 최우선적으로 노려야 하는 융합석입니다.
창조 반지는 딜쿨비가 꽤 괜찮기 때문에 칠흑을 제외한 세트를 착용한 남메카닉 유저들은 노리는 것을 추천합니다.
특장 고유의 경우 최주력기인 45,70,75를 노리는 것이 좋습니다만 얻는 것이 하늘에 별따기 수준이기 때문에 속편하게 세트 융합석을 쓰는 것을 추천합니다.
남메카닉은 제가 어릴 때부터 정말 애정으로 키워 온 캐릭터입니다.
사실 성능이 좋은 캐릭터라고는 하기는 힘들지만 RPG에서 보기 힘든 개성 있는 캐릭터이고
타 캐릭터와는 다른 장점이 확실한 캐릭터이기 때문에 한번 쯤 찍먹 해보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